레토르트 식품의 개발은 미국에서 1940년도에 시작되어 1950년대에 미국 육군과 민간기업의 공동연구로 1950년도 말 군수품으로 실용화되었습니다.
대표적인 예로는 카레, 어묵, 짜장 포장 등이 있겠네요.

이 포장의 목적은 내열성, 배리어성, 밀봉성 및 실용강도인데요, 내열성은 고온으로 가열 및 살균하여 상온에서도 유통가능하게 해주기 위함이고, 음식의 산화 폐색을 막기 위해 산소, 빛을 차단하는 배리어성이 필요합니다.
또한 위의 이유로 밀봉성이 있어야하고 배송중에 터지면 안되므로 실용강도가 있어야 합니다.
재료의 구성은 PET,ONy(이축연신 나일론),Al(알루미늄),CPP(무연신 폴리프로필렌)를 사용합니다.
CPP에 대한 간단한 설명을 하자면 PP는 OPP,CPP,IPP 로 나눌 수 있는데, OPP는 연신 PP, CPP는 캐스팅방식으로 뽑는 PP, IPP는 인플레이션 방식으로 뽑는 PP입니다.
비닐 압출 방식같은 경우 블로그글 https://blog.naver.com/yty7111/222571864807
에 나와있으니 참조해주시고
카턴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 포장은 아래와 같이 이루어 집니다.
PET 12마이크로 미터
|
인쇄/ 접착층
|
ONy 15마이크로 미터
|
접착층
|
Al 7마이크로 미터
|
접착층
|
CPP 60마이크로 미터
|
앞선 포스팅에서 설명드렸다시피 비닐의 경우 재질에 따라 필름을 압출할 때 붙고 안붙고가 갈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렇기에 위와 같이 접착층을 하나 해주어야 하는 것입니다.
사실 위의 그림은 7중레이어로 압출한게 아니라 합재를 한 것입니다. 연신을 한 것은 모두 합재라고 보시면 됩니다.
그래서 카턴을 사용하는 경우 아래와 같은 구조를 가집니다.
PET 12마이크로
|
인쇄/ 접착층
|
Al 7마이크로
|
접착층
|
CPP 70마이크로
|
이 경우 압출이 가능할 것이기에 이러한 방식을 현재 많이 채택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간단하게 여기서 마무리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폴리코였습니다.
비닐 압출, 가공, 인쇄 등 문의는 언제든 010-8899-3814 혹은 https://open.kakao.com/me/polyko

'비닐에 대하여 > 패키징' 카테고리의 다른 글
2. 전자레인지용 포장 (1) | 2021.12.28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