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번에 포스팅했던 일반지퍼백 관련해서 문의가 몇 건 있었는데 고객분들께서 헷갈려하시는 부분이 있어서 포스팅하게 됐습니다.

위 사진은 지퍼백이라고 검색했을 경우 나오는 사진들인데요, 왼쪽과 오른쪽의 차이가 뭘까요?
왼쪽같은경우 비닐 압출한 것을 받아 지퍼를 붙이고 가공을하는 과정을 거친 제품이고, 오른쪽은 지퍼와 비닐을 같이 압출하여 뽑은 제품입니다.
저희가 생산하는 것은 왼쪽과 같습니다.
오른쪽 왼쪽의 차이는 단순 지퍼를 붙이고 압출하고 차이뿐만은 아닙니다.
일단 오른쪽 일반압출 지퍼부터 설명해보겠습니다.

이런식의 지퍼백은 아까 말했다시피 처음부터 지퍼가 달린 상태로 압출을 하여 그 후에 열로 잘라 가공을 하게 됩니다. 예전 포스팅 중 인플레이션 방식을 참고하여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이렇게 제작할 경우 일반적으로 1도,2도인쇄까지(실크인쇄가 아닐경우) 가능하고 이는 일반적으로 압출 후 뒤에 인쇄기를 달아 진행하게 됩니다.
이전 인플레이션 방식에 대한 포스팅을 보셨다면 아시겠지만 인플레이션 방식 자체가 아래에서 위로 비닐을 뽑아올리고 하는 것이기에 비닐을 약 100mic 이상 두껍게 만들기가 불가능 혹은 비용자체가 너무들어가 선호되지 않습니다.
또한 M자가공 이라고도 불리는 스탠딩으로 만드는 것이 불가능합니다.

반면 저희가 생산하는 일반지퍼백은 원단을 압출하고 그 후에 지퍼붙이기, 초음파 등으로 가공과정을 거치게되는데, 이렇게 할 경우 1도,2도 상관없이 인쇄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고, 원단을 받아 가공하기에 두께를 200mic 넘게도 가공이 가능합니다.
또한 M자가공도 가능하지만 가공비가 위의 압출방식보다 약간 비싸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관심이 생기신다면 연락 주세요. 감사합니다

'비닐에 대하여 > 제품 생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의류 지퍼백 두께선택 및 크기 선택하는법 (0) | 2023.06.09 |
|---|---|
| 단추 봉투 대신 슬라이드 지퍼백 어떤가요? (0) | 2023.03.07 |
| PP만큼 투명한 PE재질 원단을 뽑을 수 있을까? (0) | 2023.03.02 |
| 헤더봉투가 지퍼백으로? 날개 지퍼백 (0) | 2023.02.02 |
| 일회용 봉투 대체품? 폴리코 일반, 슬라이드 지퍼백 생산 (0) | 2023.02.01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