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폴리코입니다.

오늘은 새로운 제품 개발을 위해 왔습니다.

두께 : 500mic

재질 : EVA

가로(cm)x세로(cm)

50cm x 150cm

이런 논슬립의 경우 EVA가 약간 끈적거려 논슬립기능이 있으므로 일반적으로 EVA를 사용합니다.

표면의 경우 매끄러운것도 끈적한 느낌이 있어 미끄러지진 않지만

엠보처리를 하여 아래 그림과 같이도 가능합니다.

직접 압출하기 때문에 다양한 옵션으로 가능한 장점이 있습니다.

.

.

제품의 장점으로는 닦았다가 다시 쓰게되어도 논슬립기능이 유지되기 때문에 재사용이 가능합니다.

단점으로는 녹는점이 낮아 뜨거운 것을 떨어뜨리게 되면 녹는점이 낮아 데미지를 입을 수 있고, 원단은 튼튼하지만 표면 저항성이 낮아 긁으면 긁힌 자국이 남는 단점이 있습니다.

구매할 때 주의사항으로는 순수하게 EVA가 아닌 것은 피하는것이 좋습니다..

일전 중국제품 분석을 위해 구매해본 적이 있는데 재질이 PEVA라고 되어있는것을 확인했습니다.

확인해보니 EVA는 확실히아니고 오히려 HDPE에 가깝더라구요.

때문에 중국제는 표기 문제가 있어 추천드리지 않고,

PE와 EVA를 섞게될 경우 끈적거림이 거의 없어져 이런 경우 덮는 용도 외에는 의미가 없어지게됩니다.

즉 테이프를 붙이지 않으면 고정력이 없어 테이프를 꼭 붙여야됩니다. 세척하기도 힘들고 지저분해 보이겠죠?

.

.

.

오늘은 여기까지 EVA 논슬립 시트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관심이 있다면 아래 명함으로 연락부탁드립니다.

식품을 포장하고 싶다면 어떤 비닐을 사용해야 할까?

식품 포장은 단순히 음식을 보관하는 것 이상의 의미를 가집니다. 안전성, 신선도 유지, 그리고 환경에 미치는 영향까지 고려해야 하는 복잡한 문제죠. 그렇다면 과연 어떤 비닐이 식품 포장에 가장 적합할까요?

일반적으로 LD (저밀도 폴리에틸렌), HD (고밀도 폴리에틸렌), PP (폴리프로필렌), PVC (폴리염화비닐) 등 다양한 종류의 비닐이 식품 포장에 사용됩니다. 그러나 각각의 재료는 장단점을 가지고 있어, 식품의 종류나 저장 기간에 따라 적합한 비닐 선택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PVC의 문제점

PVC는 널리 사용되는 포장재 중 하나이지만, 재활용이 어렵고 고온에서 유해 물질을 배출할 가능성이 있어, 식품 포장재로서는 권장되지 않습니다. 특히 환경 보호와 건강을 고려하는 현대 소비자들 사이에서는 더욱 기피되는 경향이 있죠.

PVC 원단

LD, HD, PP의 한계

LD, HD, PP 비닐도 널리 사용되지만, 이들 또한 보관 기간이 짧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이는 장기간 식품을 저장하는 데에는 적합하지 않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최적의 해결책: 복합 재료 사용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LD 나일론, LD 알루미늄, LD PET 등을 결합하여 사용하는 방법이 사용됩니다. 여기서 온도가 높아야하는 레토르트같은 경우 PP를 사용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HD의 경우 투명도 문제와 LD보다 높은 녹는점으로 인해 실링성에 문제가 있을 수 있어 잘 사용되지는 않습니다.

이러한 복합 재료는 각각의 장점을 결합하여 식품의 신선도를 장기간 유지할 수 있습니다.

식품 포장재를 선택할 때는 단순히 비용이나 사용 편의성만을 고려해서는 안 됩니다. 환경적인 영향, 재활용 가능성, 그리고 건강에 미치는 영향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최적의 솔루션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때문에 단기간 사용하는 경우 단일재질, 장기간 보관하는 경우 알루미늄 등을 합지하여 사용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상세한 것은 상담을 통해 진행하시는 것을 더욱 추천드립니다.

이제 식품 포장에 대한 선택이 좀 더 명확해졌나요? 지속 가능하고 안전한 포장 방법을 선택함으로써, 원하는 결과를 얻으시길 바랍니다.

식품포장 관련 문의가 더 있으시다면 아래 번호로 문의주세요.

안녕하세요 오늘 소개드릴 제품은 실크느낌나는 PE 지퍼백입니다.

고급스러운 느낌의 재질이며, 안쪽은 투명하고 바깥쪽은 반투명이기에 고급스러운 느낌을 주기에 좋습니다.

샘플또는 문의는 아래 명함으로 부탁드립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