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다뤄볼 주제는 폴레스타이렌입니다.

출처: https://blog.naver.com/wharenburg/222203132306

앞선 여러개의 포스팅을 보셨다면 알겠지만 기본은 에틸렌 구조입니다. 에틸렌 구조에서 수소대신 무엇을 집어넣느냐가 비닐의 물성, 특성을 결정한다 볼 수 있습니다.

아무튼 폴리스타이렌이라 하면 익숙하지 않을 수 있지만 사실 꽤나 흔하게 볼 수 있는 소재입니다. 요구르트병, 컵라면 용기, 플라스틱컵, 장난감 등 아주 많은 곳에 쓰일 뿐만아니라 폴리스타이렌을 만드는 과정 중 높은 온도에서 끈적끈적한 액체 반죽이 형성되는데 이는 우리가 자주 쓰는 스티로폼입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폴리스타이렌은 사슬을 따라 벤젠고리가 불규칙하게 배치된 혼성배열 구조인데, 이런 불규칙성은 사슬과 사슬간의 배열을 방해하며 그로인해 폴리스타이렌은 비결정성을 띄게 됩니다.

반대로 교대배열 폴리스타이렌의 경우 규칙적 구조에 따라 사슬간의 쌓임이 안정적이기 때문에 결정구조를 형성하여 그 결정구조의 녹는점은 250도로 매우 높습니다.

폴레스타이렌의 경우 환경오염에 관한 기사가 많습니다.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024380

 

미세플라스틱이 녹조 독소 농축…먹이로 착각한 물벼룩 죽일 수도

오염 물질이 흡착된 미세플라스틱을 물고기, 동물성 플랑크톤, 갑각류와 같은 수생 생물이 섭취할 경우 먹이사슬에 들어갈 수 있고, 미세플라스틱에 붙어있던 오염물질이 장(腸)에서 떨어져 나

www.joongang.co.kr

 

https://www.yna.co.kr/view/AKR20211116077400063?input=1195m

 

"농작물도 뿌리로 초미세플라스틱 흡수…유통 농산물 조사 필요" | 연합뉴스

(대전=연합뉴스) 김준호 기자 = 안전성평가연구소 환경독성영향연구센터 윤학원 박사는 수산물뿐만 아니라 농작물도 초미세플라스틱을 흡수하는 사실을 ...

www.yna.co.kr

https://tk.newdaily.co.kr/site/data/html/2020/07/15/2020071500125.html

 

POSTECH 차형준 교수팀, 산맴돌이거저리 유충 이용 폴리스타이렌 생분해 확인

POSTECH(포항공과대학교, 총장 김무환) 화학공학과 차형준 교수, 통합과정 우성욱씨 팀은 안동대학교 송인택 교수와 공동연구를 통해 딱정벌레목의 곤충인 ‘산맴돌이거저리(학명 Plesiophthalmus davi

tk.newdaily.co.kr

이런식으로 생분해를 연구하는 것도 많네요.

저희 공장에서는 폴레스타이렌을 다루지 않기 때문에 이렇게까지만 소개하고 넘어가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비닐 압출 및 가공, 인쇄 특수필름개발 모두 연락주세요 010-8899-3814

 

'비닐에 대하여 > 소재' 카테고리의 다른 글

FPCB 제조 효율성 높이는 TPX 핫프레스 필름의 특징  (1) 2024.04.18
5. PVC에 관하여  (0) 2021.12.22
4. EVA에 대하여  (0) 2021.12.22
3. PET에 대하여  (0) 2021.12.22
2. PP에 대하여  (0) 2021.12.22

+ Recent posts